전공소개

교육상담학과
교육학석사Master of Education
학과목표
- 본 전공은 학교 및 지역사회 장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교육학 및 상담학 제반 이론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예방하고 상담적 개입을 할 수 있는 상담 전문가 및 교사 양성을 위한 재교육을 목표로 함
취득가득 자격증
- 국가자격증: 청소년상담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임상심리사, 직업상담사
- 학회자격증: 상담심리사, 범죄심리사, 임상심리전문가, 산업 및 조직심리사
- 민간자격증: 가족상담사, 상담심리사, 놀이치료사, 미술/독서치료사
졸업후 진로
- 청소년상담기관: 한국청소년상담원, 시·도교육청 청소년상담센터, 청소년수련관
- 교육기관: 대학생 학생상담센터, 중·고등학교 Wee클래스
- 상담 및 심리치료기관: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신경정신과), 보건소, 직업상담기관, 개인심리상담실
- 사회시설: 사회복지기관, 소년보호기관, 교정시설
교수소개
|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 최태진 |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 교육학박사 | C2-106 | 041-750-6253 |
| 백유미 |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 교육학박사 | ||
| 정명선 | 재활심리 및 상담심리 | 이학박사 | C2-408 | 041-750-6876 |
교육과정 편성표
|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 전공 | 성격심리 | 3 | 3 |
| 발달심리 | 3 | 3 | |
| 청소년상담 | 3 | 3 | |
| 임상심리 | 3 | 3 | |
| 심리검사 | 3 | 3 | |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 3 | 3 | |
| 상담이론과실제 | 3 | 3 | |
| 집단상담 | 3 | 3 | |
| 긍정심리 | 3 | 3 | |
| 인지행동치료 | 3 | 3 | |
| 교육연구방법론 | 3 | 3 | |
| 가족상담 | 3 | 3 | |
| 특수아상담 | 3 | 3 | |
| 현대심리치료동향 | 3 | 3 | |
| 이상심리 | 3 | 3 | |
| 학습동기의 이해 | 3 | 3 | |
| 행동수정 | 3 | 3 | |
| 사회심리 | 3 | 3 | |
| 사이버상담 | 3 | 3 |
교과목 해설서
| 성격심리Personality Psychology | 다양한 성격이론의 역사적 변천과정, 성격의 구조 성격발달 및 성격의 역동과 행동의 관련성 등에 대해 비교 연구함으로써 여러 성격이론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인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는다. |
|---|---|
| 발달심리 Developmental Psychology | 인간의 출생으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인간 발달과정을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측면 등에서 고찰하고 인간의 발달적인 측면을 총체적으로 다룸으로써 인간이해를 도모한다. |
| 청소년상담Adolescent Counseling |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청소년상담을 하기 위한 방법 특히 청소년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학업, 진로, 학교폭력, 인터넷 중독 등)을 영역별로 다룹니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청소년 내담자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
| 임상심리 Clinical Psychology | 심리치료와 심리평가를 비롯하여, 인간의 심리적 고통 및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교육, 자문, 예방, 재활 등에 관심을 두는 심리학의 전문영역이다. 본 수업에서는 임상심리학에 대한 정의, 역사적 고찰을 비롯하여 심리학적 진단과 평가, 심리치료의 다양한 이론과 기법, 임상심리학의 윤리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 |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활용되는 각종 심리검사들의 제작방법과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때 관련되는 여러 가지 문제(검사실시의 주의사항, 검사결과의 보고요령, 검사결과 해석 및 활용)를 실제적으로 다룬다. |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Counseling Practicum & Case Studies | 본 교육과정에서 배운 상담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기초로 하여 실제 상담장면에 적용해 보거나 경험해 보도록 함으로써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실수와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보다 효율적인 실제 상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 |
| 상담이론과실제 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 상담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발달 배경과 그 특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담장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상담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각자의 개인적 상담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하도록 돕는다. 또한 상담이론을 실제에 응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탐색 및 대처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
| 논문연구 Instruction of Master Thesis Research | 석사학위수여를 위하여 필요한 학위논문의 과제를 부여하고, 부여된 논문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각종 연구방법을 습득케 하여 논문의 질적 향상을 추구한다. |
|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 집단상담의 발달과정과 유형, 집단과정 및 집단상담 기법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집단상담을 진행해 나갈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습득하도록 돕고 아울러 실제의 집단상담 과정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
| 긍정심리Postive Psychology | 긍정심리학에서 축적해온 연구성과와 이론들을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의 핵심개념들을 학습하고, 자기이해와 행복증진에 도움이 되는 긍정심리학적 적용방법들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 Therapy |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결합된 인지행동치료의 역사와 이론을 습득하며, 다양한 형태의 인지행동치료기법을 익힘으로써 상담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 효과적인 상담연구 수행을 위한 주제 선정 방법, 문헌고찰 방법, 실험설계 방법, 자료수집과 자료분석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탐구·논의한다. |
|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 가족 구성원들 간에 야기될 수 있는 제반 갈등(부부관계, 부모, 자녀관계, 가족병리, 노인문제, 여성문제 등)과 심적 부적응을 예방, 해소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상담이론과 기법을 개관함으로써 가족간의 제 문제를 심도있게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인 접근 방법과 상담기법 습득하도록 한다. |
| 특수아상담Counseling of Disabled Children | 신체적, 지적 및 정서적 특수아들의 특징들을 개관하고 그들의 발생원인 판별도구 및 지도 방안 등을 모색하여 상담을 통해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그 원리와 이론을 학습한다. |
| 현대심리치료동향Trend of current psychotherapies | 최근 심리치료 이론은 기존의 인지행동치료를 넘어서서 3세대 행동치료라는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심리치료의 최신 동향을 간단하게 개관하고, 그러한 흐름을 형성한 두 종류의 심리치료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일찍부터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와 다른 접근을 시도한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배워보고, 그 다음에는 3세대 행동치료 중 가장 최근에 소개된 자비중심치료를 학습할 것이다. |
| 이상심리Abnormal Psychology | 최근 심리치료 이론은 기존의 인지행동치료를 넘어서서 3세대 행동치료라는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심리치료의 최신 동향을 간단하게 개관하고, 그러한 흐름을 형성한 두 종류의 심리치료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일찍부터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와 다른 접근을 시도한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배워보고, 그 다음에는 3세대 행동치료 중 가장 최근에 소개된 자비중심치료를 학습할 것이다. |
| 학습동기의 이해 Understanding Learning Motivation | 모든 인간 행동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학습동기의 개념과 특성, 구인, 동기유발의 매커니즘, 다양한 동기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학습동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의 동기를 높여 효과적인 학습과정과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모색한다. |
|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 행동주의 이론을 토대로 여러 가지 행동의 변화 및 수정에 대한 원리 및 실제 기법을 학습함으로써 이를 실제 상담장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사회심리 Social Psychology | 개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 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집단행동을 다루는 분야이며 특히 사회장면에서의 인간 행동을 연구한다. 초점을 뚜는 연구 주제는 선전과 설득, 동조, 집단 간 갈등, 편경 및 공격행동의 결정요인, 태도변화 등이 있으며 여론조사나, 태도조사 등이 포함된다. |
| 사이버상담 On-Line Counseling | 상담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기초로 하여 온라인 상담 장면에 적용해 보거나 경험해 보도록 함으로써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실수와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보다 효율적인 온라인 상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