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한국어학과
교육학 석사Pedagogy Master
학과목적
- 한국어학과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목표로 국제화 사회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의 세계화를 이끌 수 있는 유능하고 책임감 강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
- 아울러 국내의 다문화 가정 대상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위해 외국어 및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 분야에 필요한 전문적인 이론적 지식과 효율적 교육을 할 수 있게 하는 깊이 있는 학문을 연찬함을 목적으로 한다.
- 또한 현장의 교사들을 위한 재교육과정으로서의 기능도 병행하여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얻은 다양한 경험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와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 한국어 교육전문가를 양성함은 물론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학과목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궁구하고 외국인 및 해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며, 한국어를 전문적으로 체득하여‘한국어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를 위해 본 학과에서는 이론 강의만이 아니라 원격강의 등의 매체를 활용하는 교수법 및 이론 중심의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교과목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학과특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및 교수를 양성한다. 다문화 가정 교육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발전방안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에 들어가서 한국어 교사의 길을 걸을 수 있다.
- 본교 평생교육원 한국어 강사
- 국내 한국어교육 기관의 교육 강사
- 국외 대학 한국어 학과 교수
- 박사과정 진학
외국 소재 한국어학과 교수 및 교육강사
현재 중국 및 동남아시아 대학과의 자매결연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이들 학교에 강사로 파견될 수 있다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박종호 | 041)750-6293 | |||
최태호 | 한국어교육 | 문학박사 | C4-203 | 041)750-6684 |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한국어학 연구 | 3 | 3 |
한국어의미론연구 | 3 | 3 | |
대조언어학연구 | 3 | 3 | |
외국어습득론연구 | 3 | 3 | |
한국어문법교육론 | 3 | 3 | |
한국어교재론 | 3 | 3 | |
한국어교육과정론 | 3 | 3 | |
한국어발음교육론 | 3 | 3 | |
한국어이해교육론 | 3 | 3 | |
한국어표현교육론 | 3 | 3 | |
한국다문화교육론 | 3 | 3 | |
한국문학연구 | 3 | 3 | |
한국어수업참관 및 수업실습1 | 3 | 3 | |
한국문화론 | 3 | 3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1 | 1 | 1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2 | 1 | 1 | |
한국어음운론연구 | 3 | 3 | |
한국어형태론연구 | 3 | 3 | |
한국어통사론연구 | 3 | 3 | |
한국어어휘교육론 | 3 | 3 | |
한국어평가론 | 3 | 3 | |
한국문화의 이해 | 3 | 3 |
교과목 해설서
한국어학 연구 Studies on Linguistics of Korean | 한국어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한국어 전반에 걸쳐 용어의 정의를 비롯해서 일반론을 익힌다. |
---|---|
한국어 음운론 연구 Studies on Korean Phonology | 한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법칙 등에 관해 연구한다. |
한국어 형태론 연구 Studies on Korean Morphology | 한국어 형태론의 연구 이론과 방법을 고찰하고 형태소의 배합 유형 및 기능, 조어론 등을 연구한다. |
한국어 통사론 연구 Studies on Korean Syntax | 한국어 문장 구조를 이해, 분석함과 아울러 한국어의 통사적 기능에 대해 연구한다. |
한국어 어휘교육론 Didactics of Korean Vocabulary | 한국어 어휘 체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어휘 교육에 필요한 이론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
한국어 의미론 연구 Studies on Korean Semantics | 한국어의 어휘와 문장에 나타난 의미 및 기능 등에 관해 연구한다. |
외국어 습득론 연구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 외국어 교육론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외국어 습득론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다양한 이론의 비교와 검토를 통해 외국어 습득 절차와 학습 절차 등을 학습한다. |
한국어 문법교육론 Didactics of Korean Grammar | 한국어 문법교육을 쉽게 이해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
대조언어학 연구 Studies on Contrastive Linguistics | 언어 간 대조 비교 분석 방법을 검토하고 한국어와 타 언어의 구조를 대조 분석하여, 언어권 별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구한다. |
한국어 표현교육론 Didactics of Korean Speaking & Writing in KFL |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의 표현 원리를 이해하고 그에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을 익히고,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표현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
한국다문화교육론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 최근 급속하게 다문화사회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맞이하여, 다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다문화교육론을 정립함에 있어서 다문화교육론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논의를 시도하고,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에 대한 이해를 정립한다 |
한국어 이해교육론 Didactics of Korean Listening & Reading in KFL | 언어소통을 중심으로 이해의 본질과 내용, 이해 과정, 이해를 위한 교재 구성 및 교수 학습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바람직한 이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
한국어 교육과정론 Curriculum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천과 새로운 교육과정 등을 모색한다. |
한국어 교재론 Material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새로운 방향의 한국어 교재를 구상하고 구교재의 문제점 등을 보완 검토한다. 교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통합적 개인교수법을 체득한다. |
한국어 발음교육론 Didactics of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 한국어 음운론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이론을 토대로 하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발음 교수법을 다루면서 한국어의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한국어 평가론 Test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한국어 교육의 결과인 평가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안과 새로운 평가 방법을 모색하고 연구한다. |
한국 문학 연구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 한국문학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
한국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 한국 현대 문화를 체득하고 연구한다. 생활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외국문화와의 차이를 인지한다. |
한국문화론 Theories of korean culture | 한국 현대 문화를 체득하고 연구한다. 생활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외국문화와의 차이를 인지한다. |
한국어 수업 참관 및 수업실습 I Class Observation &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I | 한국어 교육 기관에 가서 한국어 교수법을 체험하고 이론을 배운다. |
한국어 수업 참관 및 수업실습 II Class Observation &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II | 한국어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경험하며,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익힌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1 Inculcate ethics and research paper writing 1 | 한국어 교육에 관한 논문을 연구하고 지도받는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2 Inculcate ethics and research paper writing 2 | 한국어 교육에 관한 논문을 연구하고 지도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