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골프경영학과
체육학석사Master of Physical education
학과목적
능력 있고 유능한 골프 지도자와 경영자 양성을 위하여 골프 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골프인 육성에 목적이 있다.
골프산업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국내·외 골프 스포츠 외교 분야 및 전문가로써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리더로 사회 참여시 고급 인력으로 양성하고 개인의 외적, 내적 능력 개발 및 지위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과학적인 접근법을 시도하여 새로운 골프기술을 창출하는데 있다.
학과목표
21세기를 맞이하여 국내·외적인 골프 분야의 변화 추세에 따라 미래지향적이고 국가 및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골프 분야에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데 있다.
- 국제적 감각을 지닌 전문 교육인력 양성
- 골프관련 연구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양성
- 골프관련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인 전문 인력 양성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골프관련 지도자 양성
학과특성
전문적인 지도방법의 연구를 위하여 각종 실기지도를 위한 스윙자세 분석실, 시청각자료실, 클럽 피팅실 등 과학적인 장비와 45타석의 골프연습장 보유하여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는 골프교육을 진행하며, 골프관련 단체와의 유기적 관계로 정보를 공유하고 여러 골프장 및 골프관련 산업체와의 교류를 통하여 산학 협동의 체계를 이루어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현실감각이 있는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발전방안
이론을 바탕으로 전문 지도자와 경영자를 더불어 이론과 실기로 진행되는 수업으로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교육 위주로 골프 학문을 연구하게 된다. 평생 스포츠로서의 높은 관심의 대상인 골프는 최근 골프산업의 발전으로 많은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문적 체계를 갖춘 유능한 지도자와 골프 산업의 관리, 경영자 및 골프장 설계, 시공, 잔디관리, 용품의 개발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경쟁력 있는 골프 산업 육성에 이바지함에 있다.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김동기 | 스포츠철학 | 사회체육학박사 | C5-318 | 041)750-6246 |
김형진 | 스포츠심리학 | 스포츠레저학박사 | C5-331 | 041)750-6659 |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골프원리학연구 | 3 | 3 |
골프경영 및 마케팅연구 | 3 | 3 | |
골프 및 레저스포츠 연구방법론 | 3 | 3 | |
골프역사학연구법 | 3 | 3 | |
스윙분석 세미나 | 3 | 3 | |
골프 SHOP 및 연습장 운영관리 | 3 | 3 | |
골프연구 방법론1 | 3 | 3 | |
경기운영법 및 현장실습1 | 3 | 3 | |
골프산업현장 인턴쉽 | 3 | 3 | |
골프사회학 | 3 | 3 | |
골프지도 방법론 | 3 | 3 | |
골프 룰과 에티켓연구 | 3 | 3 | |
골프트레이닝 방법론 | 3 | 3 | |
골프기술분석 | 3 | 3 | |
골프연구 방법론2 | 3 | 3 | |
골프장 경영자료 분석방법론 | 3 | 3 | |
경기운영법 및 현장실습2 | 3 | 3 | |
골프심리학 | 3 | 3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 1 | 1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 1 | 1 |
골프경영학과 교과목 해설서
골프원리학연구Golf Fundamentals Research | 골프의 기초적인 원리와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이해시키는 학문이다. |
---|---|
골프경영 및 마케팅연구 Golf Management and Marketing Studies | 회원제와 퍼블릭 골프장등 각 코스, 특성에 맞는 경영과 효율적인 내장객 관리 및 미래 골프산업에 대한 마케팅을 배우며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광고와 홍보 전략수립 방안을 연구한다. |
골프역사학연구법 Golf History Research Method | 우리나라와 세계 각국의 골프 역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의 골프를 진단하고 골프의 진로를 이상적으로 추구하는데 그 의도가 있다. |
골프 및 레저스포츠 연구방법론 Swing Analysis Seminar | 골프와 스포츠를 주제로 하는 연구에서 필요한 방법론적 지식을 학습한다. |
스윙분석 세미나 Golf and Leisure Sports Research Methodology | 골프스윙의 과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정확한 골프스윙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골프 SHOP 및 연습장 운영관리 Golf shop and driving range operation management | 골프 Shop 및 연습장 운영에 따른 제반 사항을 습득하고. 운영기법을 습득한다. |
골프연구 방법론1 Golf Research Methodology | 골프를 주제로 하는 연구에서 필요한 방법론적 지식을 학습한다. |
경기운영법 및 현장실습1 Match Management Law and Field Practice | 골프 토너먼트를 계획하고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법을 습득한다. |
골프산업현장 인턴쉽 Golf Industry Field Internship |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골프 산업의 개념과 체계, 그리고 영역을 이해하고 장차 골 프 산업에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한다. | 골프사회학 Sociology of Golf | 골프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현상으로 편재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적 제도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골프의 다면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으로 골프 사회학을 습득하고 토론한다. |
골프지도방법론 Teaching methods of Golf | 특별한 경우에 필요한 골프 교습 방법을 습득하고, 골프를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가르치며 최소한의 교습 방법으로 최대한의 학습효과를 이루도록 한다. |
골프룰과 에티켓연구 Golf Rules and Etiquette Studies | 골프는 경기력과 실전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접근성이 쉽지만, 골프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규칙과 용어 및 에티켓을 제대로 배우기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정확한 골프에 대한 규칙과 용어 및 에티켓을 한 단계 한 단계 안내하여 골프의 매력을 전달하려 한다. |
골프 트레이닝 방법론 Method of Golf Training | 건강한 체력을 유지시키고 골프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을 여러 학문분야 측면에서 분석하여 건강증진 및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법을 익힌다. |
골프기술분석 Analysis of Golf skill | 스킬(Skill) 과정을 습득하고 지도자가 효율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익히며, 골프스 윙 분석에 필요한 연구와 함께 토론한다. |
골프연구 방법론2 Golf Research Methodology2 | 골프를 주제로 하는 연구에서 필요한 방법론적 지식을 학습하는 심화 과정이다. |
골프장 경영자료 분석방법론Analysis methods of golf administration data | 골프경영 현장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자료들을 과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체계적 으로 정리, 분석하여 정확한 골프 경영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경기운영법 및 현장실습2 Match Management Law and Field | 골프 토너먼트를 계획하고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법을 습득하는 심화 과정이다. |
골프 심리학 Golf Psychology | 골프 환경과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 특성과 맥락 속에서 형성 되어 지며 인간의 사회행동 Application 자체를 연구하고 인간존재에 관한 사회적 현상을 심리적 입장의 측면을 학습한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1 |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등 바람직한 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익히고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함으로써 올바른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전문직 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과정이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2 |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등 바람직한 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익히고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함으로써 올바른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전문직 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과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