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실용음악학과
실용음악학석사Master of Music
학과목적
뉴 미디어의 시대가 열리면서 사회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용음악인의 양성을 위해 개설된 본 학과는 철저한 실기교육과 심층적인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 음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여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실천적 인물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학과목표
-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대중예술의 기능과 정신을 배우는 분야
- 우수한 교육시설과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교과과정
- 미래의 실용음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연주, 작/편곡, 컴퓨터 음악 등의 능력을 길러 다양한 전문 직업 예술인 배출
학과특성
교육과정상의 특성으로는 개인레슨 시간이 따로 정해져 있는 음악학과의 특성을 활용하여 수많은 실용음악 장르의 다양한 전공을 본 학과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전방안
예술의 근본을 알 수 있는 수준 높은 이론교육과 체계화되고 심도 있는 실기교육을 통하여 현대 첨단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용예술가로 성장할 것이다.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김동문 | 재즈피아노 | 음악학석사 | C5-1004 | 750-6229 |
장준근 | 지휘 | 음악학박사 | C5-1013 | 750-6228 |
실용음악학과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즉흥연주 1 | 3 | 3 |
즉흥연주 2 | 3 | 3 | |
음악교육세미나 1 | 3 | 3 | |
음악교육세미나 2 | 3 | 3 | |
전공실기 1 | 3 | 3 | |
재즈히스토리 1 | 3 | 3 | |
전공실기2 | 3 | 3 | |
재즈히스토리2 | 3 | 3 | |
전공실기3 | 3 | 3 | |
뮤직비지니스 1 | 3 | 3 | |
전공실기4 | 3 | 3 | |
뮤직비지니스2 | 3 | 3 | |
Advanced Jazz Ensemble 1 | 3 | 3 | |
Advanced Jazz Ensemble 2 | 3 | 3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1 | 3 | 3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2 | 3 | 3 | |
실용음악세미나 1 | 3 | 3 | |
실용음악세미나 2 | 3 | 3 | |
레코딩테크놀로지 | 3 | 3 | |
졸업연주 | 3 | 3 | |
상업음악 | 1 | 1 | |
실용음악 편곡법 | 1 | 1 |
실용음악학과 교과목 해설서
전공실기1,2,3,4Private lesson | AI시대를 맞아 첨단의 음악 기기들을 적극 활용하여 연주자로서의 음악적 재능을 발전시키며 수준 높은 개인레슨과 훈련을 통하여 연주 현장에서 경쟁력 있는 전문연주가로 성장 한다. |
---|---|
음악교육세미나 1,2Music education seminar |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례들을 연구하며, 다양한 현장의 니즈를 학습자와 교육자 양방향에서 연구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학구적 열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토론하고 그 결과도출을 모색한다. |
뮤직비지니스 1, 2 Music Business | 연주회나 음반의 기획 등의 사례들을 공부하여 음악을 상품화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음반제작과정과 홍보에 관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한다. 뮤직비지니스의 변화된 역사의 관점에서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연구하여 각 기획사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음반이 사라지고 음원시대에서 변화되는 SM(Social Media) 세대의 변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의 양성과 그 콘텐츠의 개발자로서 충분한 경험과 실력을 쌓게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변화되는 뮤직비지니스의 툴과 국제적인 감각을 수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에 중점을 두어 변화를 리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
실용음악 세미나1,2Applied music seminar | 실용음악쪽의 다양한 직업군의 명사들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서 사회에 나아갈 수 있는 기초적인 현장감을 터득하고 각계 각층의 저명인사들을 모셔 다양한 수업을 진행함으로서 소양을 넓히고 다양한 간접체험과 직접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 |
레코딩 테크놀로지Graduation recital | 대학원생들의 다양한 콘텐츠를 창조적이고 융합적인 방식으로 녹음하여 양질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함으로서 자신의 콘텐츠를 발표할 수 있으며, 직접 녹음되는 과정을 습득함으로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함. |
졸업연주Music education seminar | 다양한 방식으로 졸업연주를 진행함으로서 대학원에서 제작된 자신의 콘텐츠를 발표한다. 녹음과정을 거친 콘텐츠 및 직접 작곡된 다양한 형태의 저작물, 재즈곡의 재편곡 등 다양한 방식의 작품들을 관객에게 선보이며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 교육과정. |
재즈히스토리 1,2Jazz history | 재즈의 역사를 공부한다. 재즈의 역사를 시대적으로 구분하고 장르의 변화와 현시대의 트랜드한 재즈의 역사를 연구하는 교육과정으로 연주기법의 변화와 역사적인 거장들의 테크닉 및 작품들을 연구하여 현 시대의 재즈가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교육과정. |
실용음악 편곡법Applied music arranging | 실용음악에서의 다양한 편곡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오케스트레이션 및 작곡되어진 화성에 여러 가지 악기를 첨부하여 스코어링 할 수 있는 과정이다. 특히 현 시대가 요구하는 홈스튜디오 개념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스코어의 완성과 VSTI로 실질적인 사운드를 재현해 본다. |
상업음악Commercial music |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음악에 대한 이해와 작품을 감상하며 그에 따른 제작기술에 대하여 연구한다. 상업음악은 모든 장르를 포함하고 있어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장르에 국한되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음악은 CF,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어진다. 최근 소닉브랜딩과 같이 소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만드는 모든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
즉흥연주1,2 Jazz Improvisation | 실용음악의 근간이 되는 즉흥연주법을 익혀서 클래식, 동요, 가스펠, 팝, 등의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개인의 독창적인 선율과 하모니로 편곡해서 연주한다. |
재즈앙상블 1,2Advanced Jazz Ensemble 1, 2 | 앙상블을 통한 음악의 이해와 합주에 있어서 각 악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음악의 표현을 극대화 시킨다. 재즈앙상블을 통하여 합주의 능력을 배양하고 실질적인 공연으로 작품화하여 연출되어지는 사운드에 초점을 맞추어 연주한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 작성 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 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