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행사기획론Global Event Planning |
국제적인 행사의 기획과 관리에 관련된 이론과 실무를 공부하며, 다양한 문화와 국가를 아우르는 대규모 행사, 회의, 컨퍼런스 등을 기획하고 조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한다. |
문화정책론 Cultural Policy Studies |
국가나 지방정부, 문화기관 등에서 문화, 관광, 체육 등 문화분야 지원, 발전, 진흥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
정책비교론 Comparative Policy Analysis |
다양한 국가나 지역에서 시행되는 정책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
공공환경디자인 Public Environmental Design |
공공장소, 건축물 등을 디자인하여 범죄예방, 안전관리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며, 공공 공간의 기능성, 미적 감각, 사회적 상호작용 등 디자인 요소의 통합을 교육한다. |
교육정책론 Education Policy |
교육과정, 교육재정, 교육제도, 교육평가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루며,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교육 기회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하여 교육한다. |
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 |
정부와 국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의 행정 이론 및 실무에 대해 교육한다. |
행정경영사례세미나 Administration & Management Case Seminar |
국가기관, 공기업, 민간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경영 사례 및 기법에 대해 교육한다. |
인간관계론세미나 Human Relations Seminar |
정부, 기업, 사회 조직 내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모든 관계에 대해 행정, 경영, 심리 등을 중심으로 교육한다. |
행정경영조직론 Administration & Management Organization Theory |
국가 행정 사무의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수행을 위하여 국가 행정기관의 설치, 조직과 직무범위 등을 중심으로 교육한다. |
지식정보학세미나 Knowledge Informatics Seminar |
국가기관, 공기업, 민간기업의 성공과 발전의 원천이 되는 아이디어와 정보를 활용한 지식의 창출, 확산 및 활용에 대해 교육한다. |
행정법세미나 Administrative Law Seminar |
행정권을 중심으로 한 조직 및 작용과 구제에 관한 효력이 발휘되는 국가가 행하는 공법에 대해 교육한다. |
정책학 Political Science |
정부와 국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의 행정 이론 및 실무에 대해 교육한다. |
행정경영정책기획론 Administrative Management Policy Planning Theory |
행정, 경영 관련 정책기획의 의의, 기회에 대한 사례, 기획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
사회과학연구방법론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
안보학 및 경찰학의 양적연구, 질적연구 등 제반 연구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리더십세미나 Seminar of Leadership |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성원(成員)이 자발적으로 참여도록 유도하는 능력을 교육한다. |
공공사회윤리 Public and Social Ethics |
공공 및 사회 부문의 전문가 갖추어야 할 책임과 윤리성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 대하여 교육한다. |
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
공공부문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개념 및 이론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구체적인 인적자원관리방식 및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
사회학 Sociology |
사회발생, 사회구조, 의사결정, 계급, 계층, 성별, 인종, 가족, 법과 규칙 뿐만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각종 현상, 문제, 이슈 등에 대해 교육한다. |
글로벌에티켓 Theory of Protocol and Secretary |
국가행사 및 사교활동을 위한 의전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비서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정책소통론 Policy Communication |
정책 결정과 실행 과정에서 언어나 담론의 역할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정책 소통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