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발달장애인지원학과
교육학석사Master of Education
학과목적
발달장애인지원학과는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 등 발달장애인을 위한 전문 지원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장애인 부모, 장애인 옹호 단체 및 장애인 관련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과 현장 직무수행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재교육 기능을 담당하는 것도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이다.
학과목표
발달장애인지원학과는 발달장애인법 시행(2015.11.21.시행 예정)에 따른 발달장애인 지원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 등 발달장애인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발달장애복지사’를 양성한다.
- 사회복지사, 재활치료사를 비롯한 장애인관련기관 종사자는 물론 교사, 부모, 옹호단체, 경찰, 변호사, 의사, 간호사, 영양사, 행정가 등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현장에서 발달장애인 삶의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발달장애복지사’를 양성한다.
- 특수교육과 사회복지 등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융·복합적 서비스 지원자로서의 ‘발달장애복지사’를 양성한다.
학과특성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4. 5. 20.)의 제정 그리고 2015년 11월 21일 시행됨에 따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반 지원인력을 양성·배치할 의무가 부여되었다.
발달장애지원학과는 발달장애인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국내 최초로 대학원에 개설된 전공 분야로서, 오늘날 하나의 시대정신으로 간주되는 장애인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학과이다.
발달장애지원학과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발달장애지원학과는 학문의 성과를 취업으로 연결하는 데 힘쓰는 전공 분야이다. 발달장애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지원 인력은 법정 설치기관인 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비롯하여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관련단체 등에 우선적으로 취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둘째, 발달장애지원학과는 초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여 장애관련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소위 융·복합적 서비스 지원전문가를 양성하는 전공 분야이다. ‘융·복합발달장애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사회복지, 재활, 전환 등을 포괄하는 융·복합교육과정을 운영한다.
- 셋째, 발달장애지원학과는 국내 최초로 설치, 운영되는 대학원 수준의 전공 분야인 까닭에 우리나라 발달장애인 지원의 개척자적 역할을 다하고자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를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수의 발달장애인 융·복합 서비스 지원전문가를 교수자로 초빙하여 이론과 실제가 맞닿는 교육의 장을 펼친다.
발전방향
본 대학 인문산업대학원은 ‘인문과 산업의 만남’ 혹은 ‘과학과 철학의 만남’을 위해 설치, 운영되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특성화된 대학원이기에, 국내 최초로 ‘발달장애인지원학과’를 설치, 운영하는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지원학과는 발달장애인법 시행과 더불어 필요로 하는 지원인력을 양성하는 개척자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오늘날 발달장애인을 비롯한 장애인을 위한 모든 서비스의 방향은 정상화(normalization)이다. 이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갈 길이 멀다. 발달장애인지원학과는 그 정상화의 길을 개척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다할 것이다.
- 첫째,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사회복지, 보완대체의사소통, 의료, 직업재활, 평생교육 등 발달장애인을 위한 제반 서비스를 아우르는 융・복합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학과 간의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향후 개발, 운영하고자 하는 융・복합교육과정의 예를 들면, 지적장애인의 건강과 다이어트, 자폐성장애인의 여가와 골프, 발달장애인의 여가와 실용음악, 발달장애인의 옹호와 호신술, 발달장애인의 인권과 변호사 이야기 등이다.
- 둘째, 발달장애인지원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관련 자격증이 필요한 바, 장기적으로 가칭 ‘발달장애복지사’ 또는 ‘발달장애인평생교육사’ 취득을 목표로 한다. 자격기본법에 의거, 일정 요건을 갖추어 산업인력공단을 통해 민간자격증 신청이 가능한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노력해야 가능하다. 따라서 당분간은 발달장애심리진단사(한국정신지체학회)와 행동치료사(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등 현행 관련 자격증 취득에 도움이 되거나 자격시험 과목에서 면제를 받을 수 있는 몇몇 교과목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다.
- 셋째, 발달장애인 지원을 위해 민·관·산·학 협력체제를 구축한다. 발달장애인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대학과 산업, 행정이 함께 움직여야 가능하다. 이와 같은 민·관·산·학 협력체제 구축은 발달장애인지원학과 수료자의 취업과도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힘쓸 것이다.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김기룡 | 발달장애/교육 및 복지 | 교육학 박사 | C7-729호 | 031-8075-1730 |
김삼섭 | 발달장애/직업재활 | 교육학 박사 | IA 610-2호 | 041-750-6728 |
나경은 | 발달장애/학습 및 행동 | C7-729호 | 031-8075-1729 | |
박미진 | 발달장애/평생교육 | 교육학 박사 | tr> |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장애아동의 이해 | 3 | 3 |
심리학개론 | 3 | 3 | |
발달장애인 관련 법규 및 정책 | 3 | 3 | |
지적장애 세미나 | 3 | 3 | |
평생교육론 | 3 | 3 | |
발달장애인 지원인력 윤리와 철학 | 3 | 3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세미나 | 3 | 3 | |
긍정적 행동지원 | 3 | 3 | |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세미나 | 3 | 3 | |
발달장애인 인권 및 자기결정 | 3 | 3 | |
평생교육방법론 | 3 | 3 | |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론 | 3 | 3 | |
보완대체의사소통 지원 | 3 | 3 | |
장애아동부모 교육 및 상담 | 3 | 3 | |
발달장애인 복지지원 세미나 | 3 | 3 | |
평생교육실습 | 3 | 3 | |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 1 | 1 | |
발달장애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1 | 1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 1 | 1 |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 1 | 1 |
교과목 해설서
장애아동의 이해Introduc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 및 지원 요구 등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아동을 위한 가정, 학교 및지역사회 차원의 효과적 지원 방안에 대해 탐색한다. |
---|---|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인간의 심리ㆍ행동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정신분석학적 접근, 인지주의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등을 이해하고, 지능, 주의, 지각, 자아개념, 언어 등 심리학적 요소별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심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발달장애인 관련 법규 및 정책 Analysis of Laws & Policy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달장애인법」 「장애인복지법」 「특수교육법」 「장애인차별금지법」 등 발달장애 관련 법규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관련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의 정상화를 위한 전문적 식견을 갖춘다. |
지적장애 세미나Seminar on Intellectual Disability | 발달장애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의 한 축인 지적장애의 개념, 유형, 특성, 처치방법 등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세미나 형식으로 운영하며, 특수교육학, 사회복지학, 의학 등 초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평생교육론 Seminar on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의 목적은 개인의 신체적·인격적인 성숙과 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성장 발달을 전생애를 통하여 계속시키는 데 있으며, 이러한 평생학습의 기회는 삶의 현장에서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신념에 근거하여, 발달장애인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에 초점을 맞춘다. |
발달장애인 지원인력 윤리와 철학 Ethicl &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upport Personnel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달장애인 지원 인력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장애인관 및 윤리 등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특히 철학적 인간학 등의 관점에서 장애인을 바라보는 일반사회의 시각에 대한 철학적 분석과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세미나 Seminar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의 한 축인 자폐성장애를 포함하여 DSM-5에 규정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하여 개념, 유형, 특성, 처치방법 등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세미나 형식으로 운영하며, 특수교육학, 사회복지학, 의학 등 초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긍정적 행동지원 Positive Behavior Support |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인 행동수정과 이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탄생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이론적ㆍ실제적 능력을 기르고,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행동만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삶의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 |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세미나 Seminar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달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궁극적 목표인 정상화를 도모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직업을 가지고 가능한 한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직업재활이라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처럼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직업재활의 실제적 접근방법들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절한 직업재활 모형을 탐색한다. |
발달장애인 인권 및 자기결정 The Protection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일반적인 인권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인권교육 프로그 램의 특성 및 구성요소,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 발달장애인 지원인력뿐 아니라 일반국민 대상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 방법 등을 이해한다. |
평생교육방법론 Methodology of the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 실천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및 프로그램 운영 방법론에 대해 탐색하고, 발달장애인 학습자등 다양한 학습자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평생교육 운영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론 Programm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내용 선정, 방법 구성 및 평가 등을 기획, 운영, 평가하는데 필요한 내용과 실천 방법을 살펴보고, 실제 평생교육 현장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구체적 방법 론을 탐색한다. |
보완대체의사소통 지원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중증 발달장애인의 보편적 현상인 의사소통장애를 보완 혹은 대체해 줄 수 있는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의 이해,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의 임상적 활용 방법, 의사소통 조력인의 이해, 의사소통 조력인의 역할 등을 이해하고, 특히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방법을 익힌다. |
장애아동부모 교육 및 상담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the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및 평가 등에 대해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동향과 현장의 운영 실제에 대해 탐색한다. |
발달장애인 복지지원 세미나 Seminar on Welfar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달장애인 복지의 역사, 주요 복지서비스의 특성, 복지서비스의 활용 방안, 복지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등을 이해하고, 실제로 발달장애인이 살아가고 있는 현장에서의 실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 능력을 갖춘다. |
평생교육경영론Lifelong Education Management Theory | 평생교육기관 경영을 위한 행정 기획, 인사 및 회계 실무, 조직 관리 등의 구체적 방법론과 실제에 대해 탐색한다. |
발달장애인 교육과 연구Education and Research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평생교육기관 경영을 위한 행정 기획, 인사 및 회계 실무, 조직 관리 등의 구체적 방법론과 실제에 대해 탐색한다. |
발달장애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이론적 지식과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실행, 평가의 전 과정을 다루며, 근거 기반의 지원 방법과 실제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강화한다. |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Communication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ies | 발달장애인의 다양한 의사소통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원 전략을 개발·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달장애인의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특성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대체·보완 의사소통(AAC) 도구와 기술, 시각적 지원,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지원 방법을 학습한다. |
평생교육실습Lifelong Education Practice | 평생교육 실천에 필요한 실질적 역량 향상을 위하여 평생교육기관 현장의 실습을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경영에 필요한 실제적 지원 능력을 키운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Research ethics & Guide of Thesis 1 |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을 위한 논문주제가 선정된 원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논문작성 시 요구되는 관련 지식과 방법 등을 논문작성 단계별로 지도한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 Guide of Thesis 2 |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을 위한 논문주제가 선정된 원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논문작성 시 요구되는 관련 지식과 방법 등을 논문작성 단계별로 지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