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체육교육전공
교육학석사(체육교육)Master of Education
학과목적
체육교육전공은 체육의 과학화를 추구하고 법칙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 수용함으로서 체육교과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체육교사를 양성하며, 체육지도자들에게 스포츠이론에 관한 폭넓은 지식과 새로운 교육정보를 제공한다.
본 전공과정에서는 전인적인 인간을 발달시키는 체육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인간의 건강과 인체의 건강한 발달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함에 있다.
학과목표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한다.
- 교원으로서의 전문적 자질과 확고한 사명의식을 가진 교사 양성.
- 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창의적 연구와 학생지도에 헌신하는 교육 실천인 양성.
- 교과 및 학문연구 결과를 교육현장에 과학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자 양성.
학과특성
-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과학적 학문 및 경험을 습득시킨다.
- 산학 협동을 통한 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체육교과과정을 편성한다.
- 이론위주의 주입식 교육방식 탈피, 현장 및 사례, 토론 중심의 교육을 제공한다.
- 전인적인 교사의 육성, 지와 덕의 겸비를 통하여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전인적인 교사를 육성한다.
발전방안
- 세계 수준의 과학적인 학문과 이론의 탐구향상으로 체육교육이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지닌 유능한 체육전문가를 육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 지식과 정보를 수용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몸소 갖춘 창의력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지식과 이론을 탐구해 나가며 연구 방법상의 과학성과 타당도를 극대화시켜 나간다.
- 탐구된 지식을 통하여 인류의 복지와 평화의 증진 사회구성원으로 하여금 인간으로서의 삶의 조건을 궁극적으로 개선하고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체육교육을 연구/노력한다.
발전방안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강민채 | 특수교육 | 교육학박사 | C7-707 | 031)8075-1722 |
김동원 | 특수체육 | 이학박사 | C7-708 | 031)8075-1720 |
심태영 | 특수체육 | 이학박사 | C7-807 | 031)8075-1743 |
김용국 | 스포츠행정및경영 | 이학박사 | C5-330 | 041)750-6215 |
김민현 | 스포츠심리학 | 이학박사 | C5-333 | 041)750-6616 |
김우석 | 스포츠사회학 | 이학박사 | C5-329 | 041)750-6901 |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특수교육의이해 | 3 | 3 |
체육교육연구방법론 | 3 | 3 | |
체육교육론 | 3 | 3 | |
체육사·철학 | 3 | 3 | |
스포츠사회학 | 3 | 3 | |
운동생리학 | 3 | 3 | |
운동역학 | 3 | 3 | |
체육측정평가 | 3 | 3 | |
건강교육 | 3 | 3 | |
운동실기 | 3 | 3 | |
특수체육 | 3 | 3 | |
스포츠윤리와법 | 3 | 3 | |
운동학습및심리 | 3 | 3 | |
체육교과교육론 | 3 | 3 | |
체육교과논리및논술 | 3 | 3 | |
체육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3 | 3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 1 | 1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 1 | 1 |
체육교육전공 교과목 해설서
특수교육의이해 Theory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의 기본개념,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정의와 분류, 특수교육의 패러다임 이동, 특수아동에 대한 교육적 조치, 미래의 특수교육 등에 대한 기초적이고 본질적인 특수교육 과제를 다룬다. 또한 현직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자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소양을 기르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며, 특수교육대상자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특수체육과 통합체육을 실현 및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소양을 획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
---|---|
체육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 이 강좌는 신체활동 혹은 움직임에 대한 근원과 과정을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는 학문인 광의의 체육을 협의 개념으로 대변되는 인간완성을 위한 신체의 교육과 신체를 통한 교육으로 접근하여 체육교육적 측면의 효율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체육교육론 Advanced Physical Education | 체육 교육의 목적을 밝혀 세분화하고 학문적 성격과 개요를 파악시켜 이미 설정된 전공 교과의 내용을 중등 수준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에 연결시켜 단계별 구체적 내용을 상세화하고 아울러 체육 교육의 교재 및 교수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
체육사▪철학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and Philosophy | 체육사연구는 시대별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예술, 군사, 지리적 환경과 어떤 관계였는가를 분석하고, 현대 체육의 현상을 바르게 인식하며 미래 지향적인 좌표를 연구한다. 체육과 스포츠에 관한 다양한 인문학적 시각을 통하여 현실을 파악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들춰내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스포츠 사회학 Sport-Sociology | 스포츠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하고 사회현상의 하나로서 스포츠와 사회관계를 분석, 검토하고 토론한다.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운동생리학은 운동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변화의 기전을 설명함으로써 운동선수에서부터 생활체육참가자 및 병약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신제적인 능력을 증가시키는 적절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운동역학 Sport-Biomechanics |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운동수행을 위하여 신체운동의 방법과 원리를 스포츠 기술이나 운동에 사용되는 물체 및 기구의 개선을 위하여 적용한다. |
체육측정평가 Measurement &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 체력의 학습 및 훈련방법의 성과를 평가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체격 및 체력 운동 소질 등의 측정에 관한 이론과 실습 그리고 얻어진 자료의 통계적 처리 방법과 그 결과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
건강교육 Health & Education |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방법, 피로와 휴식방법, 사회환경과 건강, 건강평가 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학습한다. |
운동실기 Exercise Performance | 자신에게 적합한 종목을 선택하여 심화학습을 함으로써 1인 1종목 이상의 생활체육 및 엘리트체육을 지도하는데 목표로 하고 있다. |
특수체육 Adapted Physical Education | 신체장애자의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여 정규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알맞은 프로그램으로 변형시킴으로서 장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제한적인 신체활동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교정될 수 있는 방안을 터득케 한다. |
스포츠윤리와법 Sports ethics and law | 스포츠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법적문제를 다루기 위해 설계되었다. 현대 스포츠환경은 공정성, 도덕성, 책임성 등의 윤리적 이슈와 함께 계약, 분쟁해결, 스포츠법 적용 등 다양한 법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교과목의 주요목적은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및 법적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며, 전문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
운동학습및심리 Exercise Learning and Psychology | 운동과 스포츠를 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문제를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운동행동의 과학적 접근을 가능케 한다. |
체육교과교육론 Pedagogy in Physical Education | 교육적 견지에서 체육교과의 의의 및 역할은 무엇이며, 나아가서 체육전문가로서 필요한 체육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또한 실제 체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체육교육의 실천적 목적과 내용, 지도방법 그리고 체육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등을 학습한다. |
체육교과논리및논술 Physical Education Logic and Essay Writin | 체육교과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다양한 스포츠 현상에 대하여 논리적 사고력과 함께 종합적 표현력을 기를 수 있도록 글쓰기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체육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Studies in Teaching Material of Physical Education | 체육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이론과 실기를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교재를 분석하고 교수방법에 따른 지도안을 작성하여 다양한 교과 학습지도 방법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 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작성 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