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유아교육전공
교육학석사Master of Education
학과목적
전문적 역량을 갖춘 유아교육자 양성 .
학과목표
- 바른 인성과 교양을 갖춘 유아교육 전문가 양성
-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리더 양성
학과특성
- 교사로서의 인성과 영유아의 안전을 우선적으로요구하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들의 의견을 반영
- 이러닝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활용 능력 배양
- 비형식적 교육과정을 통한 사회적 능력 및 인성교육 강화
발전방안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실현
- 지식, 정보화에 기초한 교육시설확충
- 녹색성장 교육과정 운영확대
- 다양성인정 및 인간존중의 인성교육 강화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김용숙 | 유아교육 | 교육학박사 | C7-423 | (031)8075-1698 |
김경희 | 유아교육이론 및 교수법/유아특수교육 | 철학박사 | C7-424 | (031)8075-1724 |
김혜전 | 유아교육/다문화교육 | 문학박사 | C7-426 | (031)8075-1725 |
방효국 | 유아교육 | 문학박사 | C7-529 | (031)8075-1697 |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유아교육론 | 3 | 3 |
유아사회교육연구 | 3 | 3 | |
유아교육과정연구 | 3 | 3 | |
부모교육세미나 | 3 | 3 | |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이론과 실제 | 3 | 3 | |
영유아교사론 | 3 | 3 | |
영유아발달심리연구 | 3 | 3 | |
유아언어교육연구 | 3 | 3 | |
영유아교육프로그램 | 3 | 3 | |
유아놀이이론 세미나 | 3 | 3 | |
유아교육연구방법론 | 3 | 3 | |
예술융합교수학습방법론 | 3 | 3 | |
유아인성교육론 | 3 | 3 | |
유아미디어리터러시교육 | 3 | 3 | |
유아예술교육 | 3 | 3 | |
유아특수교육의 통합적 접근 | 3 | 3 | |
유아다문화교육 | 3 | 3 | |
유아과학교육 | 3 | 3 | |
유아 창의성 교육 연구 | 3 | 3 | |
유아수학교육연구 | 3 | 3 | |
유아문학교육 | 3 | 3 | |
유아상담의 이론과 실제 | 3 | 3 | |
논문연구 1 | 3 | 3 | |
논문연구 2 | 3 | 3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 1 | 1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 1 | 1 |
유아교육과 교과목 해설서
유아교육론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는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주요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와 관련된 이슈와 쟁점들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유아교육의 최근 동향과 전망에 대해 학습한다. |
---|---|
유아사회교육연구 Study on So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l | 유아의 사회적 발달 특성과 사회성 발달에 관한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유아기에 적합한 교육적 접근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유아교육과정연구 Study on Social | 유아교육과정의 특징, 교육과정 개발을 포함한 교육과정 작성방법, 교육의 내용, 방법, 평가, 여러 유형의 유아교육과정 모델의 장단점 비교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
부모교육세미나 Seminar in Parent Education | 유아교육은 부모교육과 동일하게 다루어질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음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실시 방법들을 검토하고 연구한다. |
유아교육기관운영의 이론과 실제 Theory & Practice for Management of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 유아교육은 부모교육과 동일하게 다루어질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음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실시 방법들을 검토하고 연구한다. |
유아언어교육연구 Study o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유아언어획득 및 발달이론을 기초로 하여 유아의 언어발달 과정에 관한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유아기에 적합한 교육적 접근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영유아교육프로그램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철학적 전제, 내용, 방법 등을 다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영유아교사론 Young Children Teacher Education | 영유아 교사의 교직으로서의 위상에 대해 검토하고 최근 논의되고 있는 영유아 교사 전문성의 본질과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며 영유아 교사 관련 연구물을 다양하게 탐구해 봄으로써 의미 있는 미래 지향적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유아예술교육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유아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유아예술의 다양한 장르와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장르별 유아 예술교육 및 다른 교과 교육과정과의 통합적 활용, 예술 경험을 위한 환경구성 등 유아교육현장과 관련한 주요이슈들에 대해 학습한다. |
예술융합교수학습방법론 Art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하여 예술을 중심으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예술융합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학습한다. |
유아미디어리터러시교육 Early Childhood Media Literacy Education |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의 변화를 이해하고, 미디어를 단순히 활용하는 것을 넘어 접근, 분석, 평가,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 학습한다. |
유아특수교육의 통합적 접근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 통합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교육적 의의와 당위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실제에 관해 학습한다. |
유아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다문화 상황에서 유아들이 서로 다른 가치관, 문화, 철학 등을 이해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교육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다문화 환경에 처한 부모가 자신의 자녀를 적절히 돕고 양육하는 방법을 찾아본다. |
유아과학교육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유아의 과학적 개념의 발달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대표적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들을 살펴본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탐색한다.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세미나 Seminar on Planning & Administer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지식, 관계법령, 유아교육에 관계된 정책, 교육재정 등을 바탕으로 교사의 자질향상,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유치원 안전시설과 도구의 종류, 지역사회와의 관계형성 등 유아교육현장 전반에 대하여 검토한다. |
유아 창의성 교육 Education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창의성의 개념, 대표적 이론, 발달적 경향, 검사도구 등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유아를 위한 다양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유아교육프로그램에의 통합 방안을 모색한다. |
유아수학교육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관한 이론들과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다양한 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학습한다. 구체적인 수활동의 계획과 지도에 대해 현장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관련이슈들에 대해 학습한다. |
유아문학교육 Seminar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 유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유아문학의 다양한 장르와 그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유아문학작품의 선택 기준, 언어교육 및 여타의 교육과정과의 통합적 활용, 문학경험을 위한 환경구성 등 유아교육현장과 관련한 주요이슈들에 대해 학습한다. |
유아상담의 이론과 실제 Counselling for Young Children | 유아의 제반 문제행동의 유형과 특성, 그 원인 등에 대해 학습하고, 적합한 교수 및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올바르게 해석하여, 부모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
논문연구 1, 2Form in Thesis Writing | 양적 연구 질적 연구에 대한 맥을 통해 연구의 다양성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 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작성 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