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특수교육
교육학석사(특수교육)Master of Education
학과목적
현직 특수교사의 재교육 및 일반교사의 특수교사 자격 취득을 통해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을 실천하는 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비롯한 모든 학생들을 위한 질 높은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교원 전문성을 기르기 위함.
학과목표
특수교육전공의 교육목표는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특수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습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질 높은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유능한 특수교육 전문성을 지닌 특수교사를 양성 및 재교육하는 데에 있다. 목표1. 특수교육이론을 갖춘 특수교육 전문가 양성 목표2. 특수교육 대상자의 진단 및 당면문제를 현장에서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현장전문가 양성 목표3. 통합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성 및 자질과 소양을 갖춘 교육리더로서의 통합교육전문가 양성
학과특성
- 인성(Personality): 미래 사회의 요구에 따라 특수교사가 지녀야 하는 인품과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교과전문성(Professionality): 미래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특수교육 전문성을 능동적으로 길러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교직수행능력(Performance): 이론과 실제를 겸비하여 연구 기반,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과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실행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발전방안
- 통합교육과 개별화 교육의 질 높은 실제를 위한 학과 교육과정을 수시 환류한다.
- 학기 중 세미나 및 현장 전문가 특강 등 최신 동향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교수소개
성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 | 연구실 | 전화 |
---|---|---|---|---|
강은영(학과장) | 특수교육 | 철학박사 | C7-709 | 031-8075-1721 |
김경민 | 정서행동장애아교육 | 문학박사 | C7-709 | 031-8075-1721 |
김혜리 | 특수교육 | 교육학박사 | C7-705 | 031-8075-1728 |
고영환 | 특수체육교육 | 철학박사 | C7-741 | 031-8075-1731 |
김기룡 | 특수교육 | 교육학박사 | C7-728 | 031-8075-1730 |
나경은 | 특수교육 | 철학박사 | C7-729 | 031-8075-1729 |
특수교육전공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개별화교육계획 | 3 | 3 |
건강장애학생교육 | 3 | 3 | |
긍정적행동지원 | 3 | 3 | |
시각장애학생교육 | 3 | 3 | |
의사소통장애학생교육 | 3 | 3 | |
인공지능(AI)과 에듀테크 | 3 | 3 | |
자폐성장애학생교육 | 3 | 3 | |
장애학생통합교육론 | 3 | 3 | |
정서·행동장애아교육 | 3 | 3 | |
중복·중증장애교육 | 3 | 3 | |
지적장애학생교육 | 3 | 3 | |
지체장애학생교육 | 3 | 3 | |
청각장애학생교육 | 3 | 3 | |
특수교육공학 | 3 | 3 | |
특수교육교과교육론 | 3 | 3 | |
특수교육교육과정론 | 3 | 3 | |
특수교육논리및논술 | 3 | 3 | |
특수교육진단및평가 | 3 | 3 | |
특수교육학개론 | 3 | 3 | |
학습장애학생교육 | 3 | 3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 1 | 1 | |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 1 | 1 | |
특수교육전공 교과목 해설서
개별화교육계획Individual Educational Plan |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별적인 교육적 요구를 바탕으로 적응형 및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고 질 높은 평가 결과를 기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건강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 건강장애학생의 정의 및 특성과 발달,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학업수행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알아보아 실제적 교수・학습능력을 기른다. |
긍정적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 특수교육대상자를 비롯하여 모든 학생의 행동을 긍정적 측면에서 지원하고, 예방적 차원에서 지원 계획을 수립하여 학생의 성장 및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
시각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시각장애학생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과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의사소통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ne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 의사소통장애학생의 정의 및 특성과 언어습득과 발달, 언어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언어 및 의사 소통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알아보아 실제적 교수・학습능력을 기른다. |
인공지능(AI)과 에듀테크AI and EduTech |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별적인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 및 에듀테크를 접목하는 교육 방법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자폐성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abilities | 자폐성장애의 정의, 진단 및 평가, 특성,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등을 학습함으로써, 자폐성장애 학생의 특성에 따른 교수방안을 습득한다. |
장애학생통합교육론 Inclus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학생을 비롯하여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고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방법 및 필요한 지원에 대하여 안다. |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abilities |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진단 및 평가, 특성,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등을 학습함으로써,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특성에 따른 교수방안을 습득한다. |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y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정의 및 특성과 발달,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학업수행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알아보아 실제적 교수・학습능력을 기른다. |
지적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지적인 어려움으로 적응 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학생의 특성,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등 지적장애학생 교육의 전반적인 지식과 교수방법을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지체장애학생교육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지체장애학생의 정의 및 특성과 발달,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학업수행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 법을 알아보아 실제적 교수・학습능력을 기른다. |
청각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청각장애학생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과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 청각장애학생 교육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특수교육공학 Technology for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을 위한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및 내용학습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본적 교육공학 지식과 방법을 학습한다. |
특수교육교과교육론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수・학습 이론을 이해하고 적합한 학습 방법과 평가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특수교육교육과정론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수・학습 이론을 이해하고 적합한 학습 방법과 평가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특수교육논리및논술 Logic and Essay of Special Education | 교과에 대한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글쓰기의 기술을 확립할 수 있다. |
특수교육진단및평가 Dignosis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특수교육대상자의 조기선별, 진단 및 평가를 위한 각종 검사도구들의 종류 및 특성, 사용방법을 알고,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결과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개별화 및 맞춤형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특수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학 및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특수교육 철학 및 지향점을 학습하여 특수교육 전문가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소양을 기른다. |
학습장애학생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학생의 정의 및 특성과 발달,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학업수행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알아보아 실제적 교수・학습수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작성 능력을 기른다.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