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소개
교과목 소개
학년 | 학기 | 이수구분 | 과목코드 | 교과목명 | 학점 | 이론 | 실습 |
---|---|---|---|---|---|---|---|
1 | 1 | 전공기초 | - | 스포츠 의학 | 3 | 3 | 0 |
1 | 1 | 전공기초 | - | 전공탐색과 기업가정신 | 3 | 3 | 0 |
1 | 1 | 전공필수 | - | 스포츠건강과학 | 2 | 1 | 2 |
1 | 1 | 전공선택 | - | 현대사회와 스포츠 | 2 | 1 | 2 |
1 | 2 | 전공기초 | - | 운동과 건강 | 3 | 3 | 0 |
1 | 2 | 전공 | - | 팀 스포츠Ⅱ | 2 | 1 | 2 |
2 | 1 | 전공기초 | - | 진로선택과 사회적경제 | 2 | 2 | 0 |
2 | 1 | 전공필수 | - | 기능해부학 | 1 | 0 | 2 |
2 | 1 | 전공필수 | - | 운동생리학 | 3 | 3 | 0 |
2 | 1 | 전공선택 | - | 배드민턴 I | 2 | 2 | 0 |
2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 교육학 | 2 | 2 | 0 |
2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 건강집중실기 I | 2 | 2 | 0 |
2 | 1 | 전공필수 | - | 트레이닝론 | 2 | 1 | 2 |
2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 카운셀링 | 2 | 1 | 2 |
2 | 1 | 전공선택 | - | 하계스포츠 | 2 | 1 | 2 |
2 | 2 | 전공 | - | 운동역학 | 2 | 2 | 0 |
2 | 2 | 전공 | - | 운동손상 및 재활 | 3 | 3 | 0 |
2 | 2 | 전공 | - | 스포츠윤리학 | 2 | 2 | 0 |
2 | 2 | 전공 | - | 스포츠응급처치 | 2 | 2 | 0 |
2 | 2 | 전공 | - | 동계스포츠 | 1 | 0 | 2 |
2 | 2 | 전공 | - | 유소년스포츠 | 1 | 0 | 2 |
2 | 2 | 전공 | - | 테니스 | 2 | 1 | 2 |
2 | 2 | 전공 | - | 배드민턴Ⅱ | 2 | 1 | 2 |
2 | 2 | 전공 | - | 전공집중실기Ⅱ | 2 | 1 | 2 |
3 | 1 | 전공기초 | - | 직업선택과 경력개발 | 2 | 2 | 0 |
3 | 1 | 전공필수 | - | 스포츠 심리학 | 3 | 3 | 0 |
3 | 1 | 전공필수 | - | 운동처방론 | 3 | 3 | 0 |
3 | 1 | 전공필수 | - | 건강운동 프로그램 개발(캡스톤디자인) | 2 | 1 | 2 |
3 | 1 | 전공필수 | - | 스포츠 수기치료 | 2 | 1 | 2 |
3 | 1 | 전공선택 | - | 소도구 재활트레이닝 | 2 | 1 | 2 |
3 | 1 | 전공선택 | - | 그룹트레이닝 실습 1 | 2 | 1 | 2 |
3 | 2 | 전공 | - | 스포츠테이핑 | 2 | 1 | 2 |
3 | 2 | 전공 | - | 선수트레이닝 | 2 | 2 | 0 |
3 | 2 | 전공 | - | 특수체육론 | 2 | 2 | 0 |
4 | 1 | 전공기초 | - | 취.창업 성공전략 | 2 | 1 | 2 |
4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 사회학 | 2 | 1 | 2 |
4 | 1 | 전공선택 | - | 병태생리학 | 2 | 2 | 0 |
4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건강 현장실습 I | 2 | 2 | 0 |
4 | 1 | 전공선택 | - | 스포츠 상해예방과 치료 | 2 | 2 | 0 |
4 | 2 | 전공 | - | 스포츠건강현장실습 Ⅱ | 2 | 1 | 2 |
4 | 2 | 전공 | - | 운동처방 및 실습 | 2 | 1 | 2 |
4 | 2 | 전공 | - | 노인질환과 운동 | 1 | 2 | 0 |
91 | 72 | 40 |
스포츠의 이해
Comprehension of sports |
스포츠분야의 전반적인 이해와 각 운동종목을 통해 얻을수 있는 효과를 학습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스포츠 의학
Sports Medicine |
스포츠의학의 기원, 기본적인 내용, 지식을 통하여 실제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스포츠건강, 스포츠과학화를 이해한다. |
팀 스포츠Ⅰ
Team SportsⅠ |
각각의 지위와 역할에 따라서 책임을 수행하며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여 상호신뢰하고 있는 짜임새 있는 상태를 행하는 스포츠 |
운동과 건강
Sports and health |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운동에 관한 중요지침을 학습한다 |
팀 스포츠Ⅱ
Team SportsⅡ |
각각의 지위와 역할에 따라서 책임을 수행하며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여 상호신뢰하고 있는 짜임새 있는 상태를 행하는 스포츠 |
기능해부학
Basic Anatomy |
인체의 형태와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관절의 구조 ,근육작용,운동특성을 강의한다 |
뉴스포츠
New Sport |
다양한 뉴 스포츠 종목이 국민생활체육협의 등을 통해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최근 학교체육의 현장에도 뉴 스포츠 프로그램이 도입이 되어 학생들이 규칙과 기능을 익히는 학습을 한다.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일회적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으로 초래되는 생리기능적 변화와 그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학문이다. |
스포츠 카운셀링
Sports Counseling |
운동 상담에 응해야 하는 지도자는 상담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과 기술을 잘 갖추고 있어야 하며, 현재 상태(baseline condition)를 파악해야 하고 운동목표를 달성하는데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며 지도 할 수 있도록 한다 |
스포츠문화론
sports history |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스포츠의 전반적인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고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참여하는 올림픽 경기의 역사적 배경과 정신에 대해 배운다. |
트레이닝론
Theories in training |
인간의 몸이 영구적으로 적응을 일으키는 변화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학문으로서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의 종류와 필요량을 선택하여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훈련함으로써 건강과 운동능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지도력을 함양한다. |
배드민턴Ⅰ
Badminton Ⅰ |
배드민턴의 기본 동작인 풋워크, 하이클리어, 스매시, 헤어핀, 드롭 등을 익히고 지도법에 대하여 강의하며 순발력과 민첩성을 배양하여 생활체육지도자 자질을 함양한다. |
전공집중실기Ⅰ
Intensive Major Practic Ⅰ |
사회수요 및 전공특성과 부합되는 종목을 선정하여 훈련방법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기능력을 극대화한다 |
운동역학
Exercise Biomechanics |
신체의 관성 특성, 근 수축 종류와 발휘되는 힘, 관절각도와 발휘되는 힘, 지렛대의 원리를 분석하여 신체부위의 역학적 일률과 신체사용방법 그리고 피스톤계의 움직임과 스윙계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
운동손상및 재활
Rehabilitation Principle of Sport Injury |
스포츠 활동 중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예방하고 상해 후 빠른 복귀를 위한 재활운동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고 운동법에 대한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함으로써 재활운동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스포츠윤리학
Sport Ethics |
스포츠에서 일어나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알아보고 스포츠의 가치에 대해 심도있게 탐구할 수 있다. |
스포츠응급처치
Sports First Aid |
스포츠 상황에서의 여러 상해에 대한 응급처치와 예방을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응급상황에서 전문 의료기관에 환자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장 응급처치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응급상황에서의 처치방법을 교육한다. |
동계스포츠
Winter Sport |
겨울스포츠의 이론과 실기를 습득하고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기른다. |
유소년스포츠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
취학전 아동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원만한 신체적 정신적 성장 및 발달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와 구성원리 및 실제에 대하여 논의한다. |
테니스
Tennis |
테니스의 기본적 이해와 기술인 포핸드 스트로크, 백핸드 스트로크를 배우고, 게임을 통하여 기본적인 전술과 전략을 익히는데 역점을 둔다 |
배드민턴Ⅱ
Badminton Ⅱ |
배드민턴Ⅰ에서 학습한 기능을 기초로 응용동작을 습득하고, 경기응용 능력을 숙달하여 변경된 경기 규칙 등을 실제로 게임을 하면서 실기능력을 고도화 한다. |
전공집중실기Ⅱ
Intensive Major Practic Ⅱ |
사회수요 및 전공특성과 부합되는 종목을 선정하여 훈련방법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기능력을 극대화한다 |
건강및 체력평가
Evaluation of Health and Fitness |
운동 능력의 측정을 통하여 건강 체력 요인 및 기술체력요인과 같은 요인의 분석 및 평가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건강 체력 요인으로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가한다 |
운동처방론
Theories in Exercise Prescription |
운동처방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실기능력을 높여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개인체력수준,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운동의 종류, 강도, 시간, 빈도, 기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의 효과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
건강운동프로그램 개발(캡스톤디자인)
Health and Exercise Program |
인간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원리를 이해하고 프로그램 대상자들의 개인적인 능력을 고려하여 운동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GXⅠ(그룹엑서사이즈)
Group exerciseⅠ |
단체 팀웍을 이루어 프로그램 작품을 만들어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
스포츠심리학
Sport Psychology |
운동학습 이론 및 운동기능을 중심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이론을 확립시켜 현장적용 능력을 키우고 스포츠 심리학의 지식과 기법, 응용 방법을 배운다. |
퍼스널 트레이닝
Personal Tarining |
트레이닝 방법론의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퍼스널 트레이너로서의 현장에서의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작성능력과 지도방법을 함양한다. |
소도구재활트레이닝
Prop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 |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운동 소도구를 이용하여 통증감소, 근력, 움직임, 지구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재활운동 전문가로서의 기초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골프
Golf |
골프에 대한 기본기술과 응용기술을 연마시키며 규칙을 이해시켜서 운동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배구
VolleyballⅠ |
배구의 역사, 특성, 경기규칙, 용어 등을 이해시키고, 기본기술 및 전술 응용기능과 지도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논의하며 앞으로 체육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케 합니다. |
스포츠사회학
Sports Sociology |
스포츠를 사회학의 개념과 이론을 기초로 스포츠의 기능과 스포츠에서의 사회과정 그리고 스포츠에서의 사회문제를 집중 탐구한다. |
GXⅡ(그룹엑서사이즈)
Group exerciseⅠ |
단체 팀웍을 이루어 프로그램 작품을 만들어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
스포츠테이핑
Sports Taping |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의 손상을 예방하고 손상된 부위에 대한 스포츠테이핑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재활운동을 직접적, 간접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선수트레이닝
Internship of Athletic Training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선수관리 프로그램과 일반인들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컨디셔닝실습을 통해 AT선수트레이너의 역할과 직업 양성에 기여한다. |
특수체육론
Adapted Physical Eduaction |
지체부자유아와 정신박약 및 사회적 부적응아 등의 각 장애인이 갖고 있는 장애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장애아동들의 일상생활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히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
스포츠건강현장실습 Ⅰ
Internship of Health and Sports Science Ⅰ |
실제적인 경험을 통하여 학습한 이론을 내면화, 행동화함과 동시에 학습한 실제를 확인, 검토, 비교함으로서 지도자로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
일상생활의 피로회복 및 스포츠 활동의 신체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스포츠마사지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피로회복 및 신체 기능을 직접적, 간접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병태생리학
Pathology and Physiology |
질병에 대한 생리학적 기전들을 배우는 학문으로 각종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대한 원인 및 치료 방법들을 학습함으로써 운동재활 전문가로서 건강운동관리에 대한 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
운동부하검사
Exercise Test |
운동시 심장기능과 혈압의 반응을 관찰하고 개인체력검사를 통해 운동능력과 심기능평가를 토대로 운동프로세스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스포츠산업
Sport industry |
우리나라 스포츠산업시장을 분석하고 졸업 후 스포츠산업체 취직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스포츠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내용을 습득하는데 의의가 있다. |
스포츠건강현장실습 Ⅱ
Internship of Health and Sports Science Ⅱ |
실제적인 경험을 통하여 학습한 이론을 내면화, 행동화함과 동시에 학습한 실제를 확인, 검토, 비교함으로서 지도자로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운동처방 및 실습
Exercise Prescription and Practice |
운동처방 이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습기 재자 활용과 체력측정 및 트레이닝 방법을 학습하고, 운동부하검사 방법과 과학적인 운동처방 능력을 함양한다 |
노인질환과 운동
Disease in Older People and Exercise |
노인에게 주로 발생되는 질환 즉, 심혈관질환, 대사계 질환, 뇌혈관질환, 신경계 질환(알츠하이머 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과 운동 시 고려할 사항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적절한 운동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