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t. of Management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행정학과

학과목적

사회복지학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


학과목표

  • 사회복지학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
  • 사회복지학문의 심화를 통한 연구역량 함양
  • 사회복지 분야별 고급 및 심층 교육 강화

  • 학과특성

    • 사회복지 분야별 학술탐구 역량과 이론 및 실천 행정 이해도 제고를 위한 내실 있는 교과운영으로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역량 제고

    발전방향

    • 사회복지 기반의 학술 및 실천현장 통섭 가능한 전문인력 배출
    • 사회복지정책 및 행정역량 제고로 리더십 배양
    • 사회복지현장의 다차원적 경험 공유로써 사회공헌에 이바지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이경준 사회복지학 교육학박사 C5-435 041-750-6216
    길태영 사회복지학 사회복지학박사 C5-338 041-750-6706
    김소진 사회복지학 사회복지학박사 C5-433 041-750-6247
    주일엽 스포츠사회학 체육학박사 C5-529 041-750-6254
    신은숙 보건학 보건학박사 C5-429 031-8075-1832
    한효상 보건학 보건학박사 C5-427 041-750-6292

    박사과정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사회복지학개론 3 3
    전공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 3
    전공 사회복지정책론 3 3
    전공 사회복지행정론 3 3
    전공 사회복지조사론 3 3
    전공 사회복지실천론 3 3
    전공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 3
    전공 사회복지법제와실천 3 3
    전공 지역사회복지론 3 3
    전공 사회복지현장실습 3 3
    전공 프로그램개발과평가 3 3
    전공 사회문제론 3 3
    전공 사회복지지도감독론 3 1
    전공 장애인복지론 3 3
    전공 여성복지론 3 3
    전공 노인복지론 3 3
    전공 고령친화산업연구 3 3
    전공 고령친화산업연구 3 3
    전공 복지시설경영사례연구 3 3
    전공 기업의사회적공헌과사회복지 3 3
    전공 죽음준비교육과사회복지실천 3 3
    전공 사회복지특수대상연구 3 3
    전공 행정법세미나 3 3
    전공 의료보장론세미나 3 3
    전공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 1 3 3
    전공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 2 3 3

    교과목 해설서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를 교양적 수준에서 이해하려는 학생들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필수하려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본 과목은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 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 실천방법론과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분야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제도로서의 실천적 전망을 살펴본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론 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공적 및 인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 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및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먼저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과 사회복지행정 발전에 기여한 이론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조직화를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 조직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획과 의사 결정, 프로그램 설계, 인사관리, 재무관리, 정보관리 등을 공부하고, 특히 비영리 사회복지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기법과 사회복지 시설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기획 및 설계에 필요한 욕구조사와 평가조사에 관한 지식도 소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공적 및 민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 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및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먼저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과 사회복지행정 발전에 기여한 이론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조직화를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 조직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획과 의사 결정, 프로그랑 설계, 인사관리, 재무관리, 정보관리 등을 공부하고, 특히 비영리 사회복지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기법과 사회복지 시설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기획 및 설계에 필요한 욕구조사와 평가조사에 관한 지식도 소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킨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Theory of Practical Practice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사회복지실천기술론에 기반을 두고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 등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기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복자사는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를 만나 그들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과목은 다양한 실천현장의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사정하고 개입하는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을 통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기본자세를 갖추도록 한다.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사회복지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 범위 및 구조를 파악한 후 우리나라 사회법의 분야별 법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복지론은 지역사회를 개입의 단위로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하는데 역점을 두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기초이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형 및 원칙,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과정적 접근 등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ork Practicum 실습기관에 파견하여 한 학기당 16일(1,000 시간정도) 동안 실습을 받도록 하며, 실습기관의 조직, 목적, 기능, 운영을 파악하고 서비스 전달에 필요한 제반 업무규정을 익힌 후 클라이언트와 원조관계를 형성하고, 클라이언트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학습한다.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사회복지제도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된 사회적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을 각각을 분석하여 사회적 예방 대책 및 해결대책을 연구함과 아울러 구체적 사회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사회복지지도감독론 Social Work Supervision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수퍼바이저)가 기관의 초임 사회복지사나 실습생을 지도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과목은 수퍼비젼의 개념과 기능을 이해시킨 후에 수퍼비젼의 일반적인 기법을 익히도록 하고, 수퍼비전의 형태, 서비스 분야, 대상에 따른 수퍼비젼의 특성을 익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사회복지분야의 한 영역으로서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장애인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애에 접근하는 시작을 포함한 가치와 이에 대한 이해, 장애문제에 대한 이해.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 근거하여 장애인복지의 가치, 이론, 기술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한국의 장애인복지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실천능력을 향상시킨다.
    여성복지론 Social Welfare for Woman 기존의 다양한 사회복지체계가 여성 관련 복지 현안을 성인지적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 그에 대한 실천대안을 모색해 봉으로써 복지체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구성해본다. 여성문제에 대한 이해와 분석 시도하며, 남성과 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 확장하도록 한다.
    노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는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틀 속에서 노화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다. 이를 통하여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의 변화와 노인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노인복지 정책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고령친화산업연구 Study of Senior Friendship Industry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혹은 노인이 주제가 되는 실버산업의 종류와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산업의 발전 동향과 전망, 외국의 사례와 국가의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복지시설경영사례연구 Management Case Study in Social Work 사회복지학자들이 모여 저술한 「사회복지시설경영론」. 사회복지시설의 기초적 지식을 구축하도록 도와주는 안내서다. 복지와 경영의 융합 차원에서의 새로운 학문적 시도를 통한 새로운 시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설치와 운영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 사회복지시설 경영을 제시한다.
    기업의 사회적 공헌과 사회복지 Company's Social Contribution &Social Welfare 지속가능한 복지사회 구현에 필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업사회공헌(CCI), 사회적 기업(SE), 복지의 시장화(바우처) 등의 이슈들을 가지고 세계화 그리고 지구온난화 등 메가트렌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들 개념을 분석하고 그 핵심내용들을 살펴본다.
    죽음준비교육과사회복지실천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Social Work Practice 개인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죽음과 죽어감의 과정에 공식적·제도적으로 구성된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바람직한 가치를 갖게 하고, 정보공유를 통해 죽음에 대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중재프로그램으로서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분야에 적용하고 있는 통합적인 죽음준비교육을 학습한다.
    사회복지특수대상연구 Specific Welfare Recipients 대학원 학생들의 관심에 기초하여 그들이 선택한 사회복지대상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행정법세미나 Administrative Law Seminar 행정권을 중심으로 한 조직 및 작용과 구제에 관한 효력이 발휘되는 국가가 행하는 공법에 대해 교육한다
    의료보장론 세미나 Seminar in Social Security in Health Care 의료보험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보장의의 원칙과 응용, 세계적인 추세 및 국가별 장단점을 논한 후, 우리나라 건강보험 관계기관의 실무를 견학하거나 방문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서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문제점의 발견 및 앞으로의 개선방향 등을 모색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1 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1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2 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2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석사과정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사회복지학개론 3 3
    전공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 3
    전공 사회복지정책론 3 3
    전공 사회복지행정론 3 3
    전공 사회복지조사론 3 3
    전공 사회복지실천론 3 3
    전공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 3
    전공 사회복지법제와실천 3 3
    전공 지역사회복지론 3 3
    전공 사회복지현장실습 3 3
    전공 프로그램개발과평가 3 3
    전공 사회문제론 3 3
    전공 사회복지지도감독론 3 1
    전공 장애인복지론 3 3
    전공 여성복지론 3 3
    전공 노인복지론 3 3
    전공 고령친화산업연구 3 3
    전공 고령친화산업연구 3 3
    전공 복지시설경영사례연구 3 3
    전공 기업의사회적공헌과사회복지 3 3
    전공 죽음준비교육과사회복지실천 3 3
    전공 사회복지특수대상연구 3 3
    전공 행정법세미나 3 3
    전공 의료보장론세미나 3 3
    전공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 1 3 3
    전공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 2 3 3

    교과목 해설서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를 교양적 수준에서 이해하려는 학생들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필수하려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본 과목은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 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 실천방법론과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분야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제도로서의 실천적 전망을 살펴본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론 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공적 및 인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 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및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먼저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과 사회복지행정 발전에 기여한 이론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조직화를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 조직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획과 의사 결정, 프로그램 설계, 인사관리, 재무관리, 정보관리 등을 공부하고, 특히 비영리 사회복지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기법과 사회복지 시설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기획 및 설계에 필요한 욕구조사와 평가조사에 관한 지식도 소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공적 및 민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 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및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먼저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과 사회복지행정 발전에 기여한 이론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조직화를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 조직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획과 의사 결정, 프로그랑 설계, 인사관리, 재무관리, 정보관리 등을 공부하고, 특히 비영리 사회복지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기법과 사회복지 시설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기획 및 설계에 필요한 욕구조사와 평가조사에 관한 지식도 소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킨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Theory of Practical Practice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사회복지실천기술론에 기반을 두고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 등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기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복자사는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를 만나 그들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과목은 다양한 실천현장의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사정하고 개입하는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을 통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기본자세를 갖추도록 한다.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사회복지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 범위 및 구조를 파악한 후 우리나라 사회법의 분야별 법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복지론은 지역사회를 개입의 단위로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하는데 역점을 두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기초이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형 및 원칙,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과정적 접근 등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ork Practicum 실습기관에 파견하여 한 학기당 16일(1,000 시간정도) 동안 실습을 받도록 하며, 실습기관의 조직, 목적, 기능, 운영을 파악하고 서비스 전달에 필요한 제반 업무규정을 익힌 후 클라이언트와 원조관계를 형성하고, 클라이언트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학습한다.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사회복지제도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된 사회적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을 각각을 분석하여 사회적 예방 대책 및 해결대책을 연구함과 아울러 구체적 사회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사회복지지도감독론 Social Work Supervision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수퍼바이저)가 기관의 초임 사회복지사나 실습생을 지도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과목은 수퍼비젼의 개념과 기능을 이해시킨 후에 수퍼비젼의 일반적인 기법을 익히도록 하고, 수퍼비전의 형태, 서비스 분야, 대상에 따른 수퍼비젼의 특성을 익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사회복지분야의 한 영역으로서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장애인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애에 접근하는 시작을 포함한 가치와 이에 대한 이해, 장애문제에 대한 이해.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 근거하여 장애인복지의 가치, 이론, 기술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한국의 장애인복지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실천능력을 향상시킨다.
    여성복지론 Social Welfare for Woman 기존의 다양한 사회복지체계가 여성 관련 복지 현안을 성인지적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 그에 대한 실천대안을 모색해 봉으로써 복지체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구성해본다. 여성문제에 대한 이해와 분석 시도하며, 남성과 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 확장하도록 한다.
    노인복지론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는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틀 속에서 노화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다. 이를 통하여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의 변화와 노인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노인복지 정책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고령친화산업연구 Study of Senior Friendship Industry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혹은 노인이 주제가 되는 실버산업의 종류와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산업의 발전 동향과 전망, 외국의 사례와 국가의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복지시설경영사례연구 Management Case Study in Social Work 사회복지학자들이 모여 저술한 「사회복지시설경영론」. 사회복지시설의 기초적 지식을 구축하도록 도와주는 안내서다. 복지와 경영의 융합 차원에서의 새로운 학문적 시도를 통한 새로운 시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설치와 운영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 사회복지시설 경영을 제시한다.
    기업의 사회적 공헌과 사회복지 Company's Social Contribution &Social Welfare 지속가능한 복지사회 구현에 필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업사회공헌(CCI), 사회적 기업(SE), 복지의 시장화(바우처) 등의 이슈들을 가지고 세계화 그리고 지구온난화 등 메가트렌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들 개념을 분석하고 그 핵심내용들을 살펴본다.
    죽음준비교육과사회복지실천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Social Work Practice 개인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죽음과 죽어감의 과정에 공식적·제도적으로 구성된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바람직한 가치를 갖게 하고, 정보공유를 통해 죽음에 대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중재프로그램으로서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분야에 적용하고 있는 통합적인 죽음준비교육을 학습한다.
    사회복지특수대상연구 Specific Welfare Recipients 대학원 학생들의 관심에 기초하여 그들이 선택한 사회복지대상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행정법세미나 Administrative Law Seminar 행정권을 중심으로 한 조직 및 작용과 구제에 관한 효력이 발휘되는 국가가 행하는 공법에 대해 교육한다
    의료보장론 세미나 Seminar in Social Security in Health Care 의료보험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보장의의 원칙과 응용, 세계적인 추세 및 국가별 장단점을 논한 후, 우리나라 건강보험 관계기관의 실무를 견학하거나 방문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서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문제점의 발견 및 앞으로의 개선방향 등을 모색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1 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1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 2 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2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